-
10
- 🎆[교내 행사] 2024-1 영사 특강 개최 안내 (4.8.)🎆
- 2024학년도 영사 인력 양성을 위한 대학교와의 협력사업과 함께 주관하는 2024학년도 1학기 영사외교 특강을 진행하오니, 관심 있는 많은 학생들의 참여 바랍니다. □ 행사명 - 2024년도 1학기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전문 외무 영사 특강’ □ 시행배경 -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재학생의 외교 현장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관련 역량을 배양하여 진로 탐색의 기회를 제공 □ 일 시 - 2024년 4월 2일 창조관 184호 오후 2시 ~ 오후 3시30분 □ 시행내용 📌1부: 영사외교 특강(한동만 연세대 국제관계학과 초빙교수, 전 필리핀 대사) 📌2부: ‘영사 인력 양성을 위한 대학교와의 협력사업’ 사업설명회 - 세부내용 📌1부 14:00 – 15:30 "한동만(연세대 국제관계학과 초빙교수, 전 필리핀 대사) “글로벌 리더 도전: 국제기구의 이해와 진로”" 📌2부 15:30 – 15:50 ‘영사 인력 양성을 위한 대학교와의 협력사업’ 사업설명회 □ 기타사항 - 행사 당일 다과 제공
- 국제관계학과 2024.04.03
-
9
- 🎆 2023-1 공공외교 아카데미 개최 (6.7.) 🎆
- 🤍🎆공공외교 아카데미 개최 안내🎆🤍 안녕하세요, 공공외교 역량강화대학 지원사업단입니다.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국제관계학과 재학생의 진로 설정과 공공외교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해 ‘공공외교 아카데미’를 아래와 같이 시행하고자 합니다.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행사명 - 2023년도 1학기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공공외교 아카데미’ □ 시행배경 -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재학생의 공공외교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공공외교 관련 역량을 배양하여 진로 탐색의 기회를 제공 □ 일 시 - 2023년 6월 7일 정의관 111호 오후 2시45분 ~ 오후 5시 □ 시행내용 1. 개요 - 총 3부로 구성. • 1부: ‘공공외교 역량강화대학 지원사업’ 및 ‘ 영사 인력 양성을 위한 대학교와의 협력사업’ 사업설명회 • 2부: 공공외교 특강(김태환 국립외교원 교수) • 3부: 공공기관 설명회(KOICA, 한국관광공사) 2. 세부내용 📌1부(14:40 – 15:00) ‘공공외교 역량강화대학 지원사업’ 및 ‘영사 인력 양성을 위한 대학교와의 협력사업’ 사업설명회 📌2부(15:00 – 16:00) 김태환(국립외교원) “강대국 경쟁 시대의 한국 공공외교” 📌3부(16:00 – 16:30) 장해인(KOICA) “공공외교에서 KOICA의 역할” (16:30 – 17:00) 함창호(한국관광공사) “한국의 소프트파워와 필더리듬오브코리아 캠페인” □ 기타사항 - 행사 당일 다과 제공
- 국제관계학과 2023.06.05
-
8
- 이제 내 돈 말고 국비로 교환학생 가자~!
- [캠퍼스 아시아 에임즈(Campus Asia-AIMS) 사업] : 아세안 지역전문가 양성을 위한 한-아세안 대학 간 학부생 교류 프로그램 쌍방향 인적교류를 통한 국가 간 협력 기반 구축과 글로벌 교류협력을 통한 지역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함 1. 파견 교환학생 프로그램 아세안 지역의 대표적인 대학들과 교류협력을 추진하고, 참여 학생들에게 아세안 지역의 문화, 사회, 역사 등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지역통상전문가를 양성함 - 파견대학 목록 말레이시아 University of Malaya 인도네시아 University of Indonesia 베트남 Foreign Trade University 필리핀 Ateneo de Manila University 태국 Mahidol University ※파견대학은 국내·외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2. Hi AIMS, High AIMS(언어-버디프로그램) 동남아시아 대학 초청학생들과 예비 파견학생 및 동남아 지역(언어)에 관심 있는 연세대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지원하는 ‘YONSEI-AIMS BUDDY’ 프로그램
- 국제관계학과 2021.03.17
-
7
- 나도 이제 공공외교 전문가! 공공외교관!!
- '공공외교 세미나'(KF 공공외교 역량강화대학 지원사업) : 고등교육 수준의 공공외교 교육 기회를 마련하고 공공외교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도 및 이해도 제고를 목표로 함 한국국제교류재단의 공공외교선도대학 지원사업으로 시행되는 과목으로, 공공외교 전문가를 초청하여 공공외교의 쟁점과 과제를 현장의 경험을 통해서 배우고 다양한 분야의 응용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함 한국국제교류재단, 외교관, 지자체단체장, 공공기관 관계자 등 외부전문가로부터 다양한 공공외교의 이론과 실제를 학습함 * 공공외교란?: 정부간 협상을 통해 국제관계를 다루던 전통외교와 달리 다양한 민간주체가 소프트파워를 활용하여 외국 대중의 마음을 얻고 지지를 확보하려는 노력 [2020년 2학기 진행 강의] 1주차 김태환 국립외교원 교수: 공공외교 개념과 한국 공공외교 현황 2주차 김형종 연세대학교 교수: 공공외교 이론 3주차 이재현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원: Think Tank, 정책 공공외교, 신남방정책 4주차 정법모 부경대학교 교수: 공공외교와 국제개발협력 5주차 이기완 창원대학교 교수: 일본의 외교정책과 공공외교 7주차 한만영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부장: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기관 소개 8주차 한건수 강원대학교 교수: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와 공공외교 9주차 백주현 前 카자흐스탄 대사: 신북방외교와 공공외교 10주차 오원집 원주투데이 대표: 유네스코 창의도시 원주와 공공외교 11주차 TCS(한중일 협력 사무국) 기관 소개 12주차 하상섭 연세대학교 통일클러스터센터 사무국장: 통일 공공외교 – 강원도 평화·통일교육 프로그램 현황과 발전방안 [2020년 2학기 현장학습(공공외교 기관 방문)] - TCS(한중일 협력 사무국) - 한-아세안 센터 [ 원주 공공외교 서포터즈 ] '전공수업 들으면서 지자체 주관 서포터즈까지 동시에!' : 공공외교 강좌('공공외교 이론과 실제', '공공외교 세미나') 활동의 일환으로 서포터즈 활동을 통해 지역사회의 공공외교적 관점 제고와 원주 창의문화도시 네트워크 발전을 목표로 함. 원주시 창의문화팀과 국제관계학과가 공동으로 주관하며, 원주 내 대외활동의 기회를 제공하고 원주 지자체장 명의의 활동인증서 를 발급해 알차고 의미있는 전공활용의 기회를 제공함.
- 국제관계학과 2021.03.17
-
6
- 다가올 그날, 통일시대를 준비하자!
- '한반도 평화와 통일·공공외교' (대학생을 위한 통일 특강 지원사업) : 대학생들의 통일교육 참여 기회를 확대하여 대학생들의 통일의식을 제고하고 대학생 통일 교육의 저변확대를 목표로 함 통일부와 (사)전국대학통일문제연구소협의회의 지원사업으로 시행되는 과목으로, 통일공공외교의 이론과 실제를 통해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다각적 이해와 통일 한반도의 미래상을 그리며, 각 분야의 전문가 특히 통일, 북한 및 공공외교 관련 전문가를 초빙하여 구체적이고 실천적 주제로서 통일과 평화를 이해하고 공공외교와 결합하여 실천을 모색하고자 함 [2020년 2학기 옴니버스 특강] 하상섭 연세대학교 통일클러스터센터 사무국장: 김정은 시대 북한의 정치 현황 최민수 광주대학교 명예교수: 한반도 통일교육 한만길 흥사단 교육운동본부 상임대표: 북한의 교육정책 변화 서민규 통일교육협의회 사무총장: 한반도 평화를 그리다 위영금 흥사단 도산통일연구소 연구위원: 북한 도시 이야기 - 함흥 박일환 원주세브란스병원 교수: 코로나 시대 남북 보건협력 김유향 국회입법조사처: 4차 산업혁명과 남북한협력 오미영 경상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북한 전쟁고아와 1950년대 북한정치 변화 홍건식 중앙대학교 국익연구소: 한반도와 통일공공외교 박철수 한라대 교수: 강원도 평화·통일교육 [2020년 2학기 현장학습] 강화평화통일전망대 및 강화도 일대 탐방
- 국제관계학과 2021.03.17
-
5
- 해외 대학과 교류하는 국제인!
- - Bridge Water State University 공동 온라인 수업 - 중국 대련외국어 대학교, 말레이시아 말라야 대학교 등과 공공외교 포럼
- 국제관계학과 2021.03.17
-
4
- 해외 연구기관 인턴하고 전공 12학점 취득하자!
- 국제관계학과 해외연구인턴 프로그램
- 국제관계학과 2021.03.17
-
3
- 학생들이 직접 설립한 사회적협동조합! GCEC
- 세계시민교육센터 사회적협동조합 (GCEC) :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주요 아젠다를 교육하고 지역차원에서 국제사회 문제의 해결모색 전 세계가 활발히 교류하고 있는 세계화 시대에 진입할 시민들, 특히 초·중·고·대학생들을 포함한 청소년과 청년들이 앞으로의 시대에 적응하고 개척해 나감에 있어서 가져야할 태도, 가치관 형성, 진로탐색에 도움을 제공하여 전 세계 시민들과 함께할 수 있는 세계시민으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함 또한, 원주시의 지역적 특성과 세계시민교육·민주시민교육의 성격을 반영한 세계시민교육 사업을 실시함으로써 글로벌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및 취업지원과 네트워크 형성을 통한 지역사회 발전을 이룩하고자 함 < 주사업 > 세계시민·민주시민교육사업 강사양성 및 역량강화 사업 교육관련연구 및 역량강화사업 홈페이지 주소: www.gcecofficial.org - 보도자료: “배운 것 시민들과 나눠보고 싶어”. 원주투데이. 최다니엘 기자. 2018.12.03. http://www.wonju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6116
- 국제관계학과 2021.03.17
-
2
- 내가 직접 참여하는 사회혁신! 리빙랩연구센터
- 연세대학교 리빙랩연구센터 : 시민, 대학, 지방정부, 기업이 지역의 현안을 함께 해결하는 혁신적인 정책결정과정 연구. 이를 강원·원주의 사례에 적용 리빙랩(living lab)이란 말 그대로 살아있는 실험실이라는 뜻으로 지역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그 지역 주민이 주도하는 방식으로 해결하는 사회 혁신 메커니즘을 지칭함. 리빙랩 방식의 문제 해결 과정에 참여하는 중요행위자는 해당 지역주민 외에 활동가들이나 시민단체, 지방 정부, 지역의 대학이나 연구소 등 지식/기술 공급자 그리고 기업 등인데, 이렇게 다양한 능력과 배경을 가진 행위자들이 문제해결을 위해 협력하는 과정에서 정보와 아이디어가 공유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로 연구와 실험을 통해 기술 혁신과 가치창출이 이루어지며 나아가 고용창출의 효과까지 발생하는 것. ▶ 국내 최초 지역의 대학이 주도하여 리빙랩을 추진하는 플랫폼이자 연구센터 - 온라인 플랫폼 구축 및 리빙랩 활동 조직화 - 오프라인 교육 사업 시행 - 학생들이 참여하여 교과 및 비교과 연계사업 시행 - 리빙랩 데이터 구축 및 연구 사업 진행 - 보도자료:“연세대 미래캠퍼스,‘연세대 리빙랩 연구센터 출범식·출범기념 세미나’”.e-대학저널.오혜민기자.2020.12.23. http://www.dh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3973 홈페이지 주소: https://llw.yonsei.ac.kr/
- 국제관계학과 2021.03.17
-
1
- 나도 통일 전문가 될 수 있어! 통일클러스터센터
- 연세대학교 통일클러스터센터 : 원주시와 강원도의 통일·북한 관련 기관들과의 협력 하에 지속가능한 통일협력사업 모색 • 설립목적 통일시대에 적합한 인재 양성 및 통일이해를 목적으로 통일교육 실시 통일시대 대비 지역에 적합한 통일 산학관군 협력사업모델 마련 통일과 관련한 지역클러스터 협의체 구성 - 대학·지역주민·지자체·혁신도시 공공기관·군부대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통일교육 실시 - 원주를 중심으로 강원지역 기관들, 수도권 기관들과 협력하여 지역에 특화된 남북협력사업 모델 제시 - 탈북민들과 원주지역 기업들을 연결하여 탈북민들의 취업 및 기업들의 공익사업 실현 모델 제시 • 연구센터 운영사업 1) 통일부 지원사업 공모 2) 지역 통일교육 사업 3) 수도권 및 지역 기관들과의 협력을 통한 남북협력사업 실시 4) 지역기관들과의 협력을 통한 통일사업 실시 5) 탈북민 대상 사업 - 보도자료:“연세대 미래캠 LINC+사업단, 통일클러스터센터 발대식 및 학술세미나”.베리타스알파.김하연기자.2020.01.15.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310047
- 국제관계학과 2021.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