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메뉴 닫기
 

학부전공과 트랙

Education

 1. “동아시아국제관계트랙”

  1-1. 개요

 

• 국제관계학의 포괄적인 이론과 경험지식을 바탕으로, 동아시아 지역의 다양한 이슈들에 대한 융복합적 이해를 도모하는 전공심화 교과트랙을 개설 운영함.
 
•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각국과의 교류가 활성화됨에 따라, 이 지역의 정치, 외교, 경제, 역사, 사상/문화 등 다양한 이슈들에 대한 융복합적 이해를 보유한 지역전문가에 대한 수요 증가함.
 
• 이러한 사회적 수요에 적극 부응하는 전공심화 교과과정을 개설 운영하여, 관심이 있는 학생들에게 해당국가로의 현지진출, 국제기구/NGO진출, 국내 유관분야(공공부문, 기업, 언론 등) 진출, 국/내외 석박사 과정 진학 등의 기회를 제공함.
 
• 융복합적 전공심화트랙 취지에 부합하도록, 유관학과(부)와의 교과과정 협력을 강화함.
 
• 학제간 융합 및 전공심화를 위해 트랙 인정을 위한 필수 이수 학점은 다음과 같음. 
 

 1-2. “동아시아국제관계트랙” 인정을 위한 최소학점

• 교과과정(2021학번~)

 

- 국제관계학과 개설 전공과목을 최소 36학점 이수할 경우, “국제관계학 전공”의 학위가 부여됨. 이중 최소 21학점을 동아시아학 트랙 교과목으로 수강할 경우, “국제관계학 전공 (동아시아국제관계 트랙)”의 학위가 부여됨.

- 동아시아국제관계 트랙에 수록된 타학과(부) 전공과목은 해당 트랙의 이수 시에만 국제관계학 전공과목으로 인정됨.

 

 

 

- 동아시아국제관계트랙 인정을 위한 최소학점

 

학위명

 

최소 이수 학점
기본 전공
심화전공
타 기본전공 이수 복수전공
국제관계학
국제관계학
전공과목 36
국제관계학
전공과목 72
국제관계학
전공과목 36
국제관계학
(동아시아국제관계
트랙)
국제관계학 전공
36학점 중
동아시아국제관계트랙과목 21 학점
국제관계학심화전공요건72학점 중
동아시아국제관계트랙 과목 21 학점
국제관계학 전공
36학점 중
동아시아국제관계트랙과목 21 학점
 
 

• 교과과정(~2020학번까지)

 

학위명
최소 이수 학점
단일 전공
다중전공
국제관계학
국제관계학
전공과목 54
국제관계학
전공과목 36
국제관계학
(동아시아국제관계
트랙)
국제관계학 전공 54 학점 중 동아시아국제관계트랙과목 21 학점
국제관계학 전공 36 학점 중 동아시아국제관계트랙과목 21 학점

 

 

 

- 국제관계학과 개설 전공과목을 최소 54학점 이수할 경우, 기존처럼 “국제관계학 전공”의 학위가 부여됨.

- 이중 최소 21학점을 동아시아학 트랙 교과목으로 수강할 경우, “국제관계학 전공 (동아시아국제관계 트랙)”의 학위가 부여됨.

- 동아시아국제관계 트랙에 수록된 타학과(부) 전공과목은 해당 트랙의 이수 시에만 국제관계학 전공과목으로 인정됨.

 

 

 

 1-3. “동아시아국제관계트랙” 인정 과목

 

 • 아래의 표에 수록된 교과목 중 최소 7과목(21학점)을 지정된 방식에 의거하여 수강함.

 

 

분류

개설학과

과목명

학정번호

비고

학과개설
선택과목
(3과목 이상 수강)

국제관계

국제정치경제론

INT3031

 

국제관계

중국지역연구

INT3018

 

국제관계

동남아지역연구

INT3015

 

국제관계

동아시아협력

INT4018

 

국제관계

국제무역의 정치경제

INT4013

 

국제관계

중국연구의 쟁점

INT3021

 

국제관계

중국외교정책

INT3048

 

국제관계

중국정치경제

INT4026

 

국제관계

동북아국제안보

INT3055

 

국제관계

일본지역연구

INT3033

 

국제관계

한국의 국제관계

INT3013

 

국제관계

국제화와 한국정치경제

INT3026

 

국제관계

동아시아전쟁과 평화

INT3041

 

국제관계

일본연구쟁점

INT3009

 

국제관계

동아시아안보와국제정치

INT3067

 

국제관계

북한지역연구

INT3020

 

국제관계

동북아정치경제

INT3008

 

국제관계

남북한관계론

INT3051

 

타학과 (부)개설
선택과목
(2과목 이상 수강)

경제

동아시아경제성장론

ECN3039

 

경제

한국경제론

ECN3026

 

역사문화

중국근세사

HAC3020

 

역사문화

중국근현대사

HAC3064

 

역사문화

중국사개설

HAC3002

 

철학

중국현대철학

개설예정

 

철학

동아시아철학의 현대적 이해

개설예정

 

철학

동양철학입문

PHO3007

 

철학

중국근대철학

PHO3011

 

EIC

Women and Gender in Asia

EIC3107

 

EIC

Chinese Politics and Economy

EIC3110

 

EIC

Contemporary Issues in East Asian Business

EIC3215

 

EIC

Diversity and Convergence in East Asia

EIC3339

 

EIC

East Asian Political Systems

EIC3001

 

EIC

Special Topics in East Asian Economy

EIC4021

 

경영

중국경영전략론

MGT3053

 

 

 

 
 
 
 

1-4. “동아시아국제관계트랙” 어학요건 (2022학번부터 적용)

• 동아시아학 트랙을 이수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교과목들의 이수와 더불어 아래의 3가지 어학요건 중 하나를 충족해야 함.

어학요건

내용

1

대학에서 개설되는 동아시아관련 교양 외국어과목(중국어, 일본어)를 '중급'이상으로 'A-' 이상의 성적을 취득함.

2

동아시아지역 언어관련 공인시험 성적 제출.

신 HSK와 신 JLPT의 경우, 각각 '4급'과 'N2' 이상의 요건을 충족해야 함.

그 외의 동아시아 언어 공인시험 최소요건은 국제관계학과 교수들로 구성된 트랙운영위원회에서 결정함.

3

동아시아 현지국가를 교환학생, 어학연수생, 인턴 등의 자격으로 방문하여

한 학기 이상 학업이나 현지업무를 수행함. 취득 학점과 현지업무의 최소요건은 국제관계학과 교수들로 구성된 트랙운영위원회에서 결정함.

 

 

 2. “영사·공공외교 트랙” 

 

 2-1. 개요 

 
   ㅇ 국제관계학의 교과과정 중 국제정치학 일반, 외교, 공공외교, 영사외교와 관련된 교과목을 중심으로 영사-공공외교 관련 이론과 실제를 겸비한 전공 능력을 함양하고 관련 진로를 모색하는데 기반을 마련하고 영사·공공외교 트랙을 개설 운영함. 
  
   ㅇ 2016년 공공외교법의 시행 이후 다양한 차원의 국제교류가 증가하고 있으며 한류 등을 힘입어 한국의 소프트 파워가 증가하는 현실에서 공공외교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 코로나 이후 각종 재난 및 위기 상황에서 재외 국민과 동포의 안전을 도모하는 것이 중요해짐에 따라 영사 및 공공외교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음. 관련 이론과 사례를 습득하고 다양한 상황에서의 문제해결 능력을 함양하는 동시에 외교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능려과 외국어 능력 등 융복합적 이해를 갖춘 인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ㅇ 국제관계학 전공은 외교부가 지원하는 “영사인력 양성을 위한 대학교와의 협력사업”과 국제교류재단이 지원하는 “공공외교 인력 양성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바 사업 효과를 극대화하는 한편 교육의 체계화를 위해 전공 트랙을 개설하고  관심이 있는 학생들에게 외교 및 국제기구 진출과 공공외교를 펼치는 정부, 공기업, 기업체 등 관련 기관 진출, 국내외 석박사 과정 진학 등의 기회를 제공함. 
 
 

2-2. 영사-공공외교 트랙 인정 요건

 

ㅇ 학제간 융합 및 전공심화를 위해 트랙 인정을 위한 필수 이수 요건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함. 이 트랙의 이수 및 인정은 21학번부터 적용됨.

 

  ㅇ 교과과정(2021학번~)

- 국제관계학과 개설 전공과목을 최소 36학점 이수할 경우, 기존처럼 "국제관계학 전공"의 학위가 부여됨.

- 이중 최소 21학점을 영사·공공외교 트랙 교과목으로 수강할 경우, "국제관계학 전공 (영사·공공외교 트랙)"의 학위가 부여됨.

- 영사·공공외교 트랙에 수록된 타학과(부) 전공과목은 해당 트랙의 이수 시에만 국제관계학 전공과목으로 인정됨.

 

 
   - 영사-공공외교 트랙 인정을 위한 최소학점

 

학위명
최소 이수 학점
기본 전공
심화전공
타 기본전공 이수 복수전공
국제관계학
국제관계학 전공과목 36
국제관계학 전공과목 72
국제관계학 전공과목 36
국제관계학
(영사-공공외교 트랙)
국제관계학 전공
36학점 중
영사·공공외교트랙 과목 21 학점
국제관계학심화전공요건72학점 중
영사·공공외교트랙 과목21 학점
국제관계학 전공
36학점 중
영사·공공외교트랙 과목 21 학점

 

 

2-3. 영사·공공외교 트랙 인정 과목

 

ㅇ 아래의 표에 수록된 교과목 중 최소 7과목(21학점)을 지정된 방식에 의거하여 수강함.

 

영사·공공외교 트랙 인정 교과목

 

 

분류

개설학과

학정번호

과목명

비고

학과개설

선택과목

(5과목 이상 수강)

국제관계

INT2015

국제법

 

국제관계

INT3005

국제협상론

 

국제관계

INT3013

한국의국제관계

 

국제관계

INT3016

국제기구론

 

국제관계

INT3029

국제관계분석도구

 

국제관계

INT3031

국제정치경제론

 

국제관계

INT3032

국제관계이론

 

국제관계

INT3035

국제관계사

 

국제관계

INT3036

외교정책론

 

국제관계

INT3071

동아시아협력과 공공외교

 

국제관계

INT4008

공공외교이론과실제

 

국제관계

INT4015

공공외교세미나

 

국제관계

INT4028

동아시아공공외교실습(캡스톤디자인)

 

국제관계

INT3061

글로벌직무실습

 

국제관계

INT3080

영사외교의 이해

 

국제관계

INT4***

영사외교 이론과 실제

신설

예정

타 학과개설

선택과목

(2과목 이상 수강)

EIC

EIC3110

Chinese Politics and Economy

 

EIC

EIC3215

Contemporary Issues in East Asian Business

 

EIC

EIC3339

Diversity and Convergence in East Asia

 

EIC

EIC3001

East Asian Political Systems

 

 

 

2-4. "영사·공공외교트랙“ 비교과 요건ᅠ (2021학번부터 적용)

 

ㅇ 상기한 교과목 이수와 더불어 아래의 3가지 요건 중 하나를 충족해야 함.

 

1) 교내외 공공외교 및 영사외교 관련 공모전 입상

2) 영사외교 및 공공외교 관련 비교과 프로그램 3회 이상 참가(현장학습, 스터디 그룹 등. 비교과활동 내용 참조)

3) 외교부, 재외공관, 주한국 외국공관 등 외교 및 영사 관련 공공기관에서 인턴십을 수행

취득 학점과 비교과 요건 승인은 국제관계학과 교수들로 구성된 트랙운영위원에서 결정함.

 

< 참고> 비교과 활동

 

ㅇ외무영사 및 공공외교 관련 전문가 특강 시리즈

- 외교부 재외동포영사실 실국/과장, 국제교류재단 관계자 또는 공공외교 전문가 초청 특강 실시

- 해당 분야에서 활약 중인 전문가 특강을 통해 외교 현장에 대한 이해를 돕고 관련 분야로의 진로 설정과 개척에 있어 학생에게 조언 및 동기 부여

- 외교 현장에 대한 이해 제고를 통해 학생들의 외교일반에 대한 이해 및 외무영사 업무의 외교적 역할을 이해하도록 함

- 특강 실시 시 관련 과목 수강생뿐만 아니라 국제관계학 전공 및 타 전공의 학생들이 참여하도록 하여 영사업무에 대한 이해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공영역에서의 잠재적 우수 학생의 참여를 유도할 것임

- 특강을 기획함에 있어 특강에 대한 사전 수요 조사 및 사후 만족도 조사를 통해 특강의 효과를 제고할 예정

 

ㅇ현장학습

- 관련 교과목 수강자, 동아리 참가자 및 기타 관심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외무영사업무에 관련된 현장학습을 추진하여 현장 이해를 돕고 학습동기를 부여할 계획

- 국제교류재단, 외교부 영사콜센터/해외안전지킴센터/여권과 등에 대한 현장학습을 진행할 예정

 

ㅇ<외무영사직> 시험 대비반 운영

- 교과 및 비교과 활동, 동아리 활동 참가자 및 기타 외무영사직 시험을 준비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외무영사직 시험 준비반을 운영하여 외교부 입부 동기를 부여

- 외무영사직을 목표로 학습활동에 대한 전문가 멘토 상담등을 통해 동기부여와 함께 역량 강화 기반을 제공함

- 본교 글로벌창의융합대학에서 운영하는 공무원시험, 로스쿨 입시, 공인회계사 준비 학생을 위해 운영하는 고시센터인 국자감 입실 자격을 부여하여 안정된 환경에서 시험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함

 

ㅇ영사·공공외교 서포터즈 활동

- 해외안전지킴센터 및 영사콜센터의 역할과 해외안전여행 대학생 서포터즈 활동 소개하여 관련 프로그램의 참여 동기를 부여함

- 원주시와 진행중인 원주공공외교 서포터즈 지속 운영 및 발전

- 자체적으로 서포터즈 공모전을 기획하여 SNS를 통한 직무 활동 소개, 관련 정보에 대한 홍보 및 분석을 시도함

- 공모전 참가 대상은 본 교과 및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자 뿐만 아니라 국제관계전공 또는 타 전공학생을 포함하여 해외 안전의식을 고취하는 한편 잠재적 우수 인재가 외무영사직에 관심을 갖고 참여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할 예정

- 서포터즈는 영사 및 공공외교에 대한 이해를 돕고 해당 직무역량 함양을 위한 학습활동을 촉진함